다트
다트(Dart) 던지기 : 자세(Stance), 잡는 법(Grip), 던지기(Throwing)
2018. 8. 15.다트(Dart) 던지기 - 자세(Stance), 잡는 법(Grip), 던지기(Throwing) 앞선 포스팅에서 이해를 돕기 위해서 다트를 여타 스포츠 중에서도 골프나 양궁과 비교하면서 설명하고 있는데, 다트를 던지는 자세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아니, 굳이 골프나 양궁이 아니라 조금 더 활동량이 많은 야구나 축구, 농구 등 구기 종목과 비교했을 때도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 아마 좋은 자세 입니다. 좋은 성적을 내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자세의 플레이에서 확률이 더 높은 것은 당연한 것이겠죠. 다만, 보편적으로 설명하는 '좋은 자세'가 '높은 성적'과 무조건적으로 비례하는 것은 아닙니다. 즉, 모든 스포츠가 그러하겠지만 자기 자신에게만 잘 맞는 자세가 있다는 것이니 "이것이 무조건 좋은 자세이다."라는 것은 없..
다트(Dart)는 스포츠다. - 기본 룰과 매너, 에티켓
2018. 7. 7.다트는 스포츠다 동호회인들을 중심으로 다트의 인식이 많이 바뀌고 있지만, 다트만이 가지는 독특한 문화나 혹은 아직까지 대중적이지 않은 모습(적어도 우리나라에서는)에서 다트는 하나의 '즐길거리' 정도에 그치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도 그럴 것이, 대부분의 다트 보드나 다트 머신이 구비되어 있는 곳은 술집인 경우가 많고, 그러다보니 게임에서 진지함보다는 지인과의 만남에서 이루어지는 일종의 이벤트성이 강하기 때문이지요. 그런 맥락에서 제 개인적인 의견으로, 다트의 현 위치는 "놀이"와 "스포츠"의 경계선 쯤에 있지 않나 싶네요. ^^ 하지만 엄연히 우리나라를 포함한 전 세계에는 다트 프로선수들이 경기를 하고 있으며, 작게는 하우스토너먼트 부터, 국내의 굵직한 전국대회를 포함하여 세계적인 대회들이 지금도 진..
다트(Dart) 장비. 2 - 다트보드
2018. 6. 24.다트 보드(Dart Board) " 다트의 점수 배점 방식 " 앞서 다트를 설명드릴 때 "스틸 다트(코르크 혹은 목재 소재)"와 "소프트 다트(전자 다트)"가 있다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스틸 다트에서 편의성을 고려하여 개발된 것이 소프트 다트(전자 다트)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다트 보드에 대한 규격 등은 두 종류의 다트가 거의 동일 합니다. 다트 보드는 브릿슬보드라고도 부르는데, 직경은 45.3cm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WDF(세계다트연맹)의 규정 : 직경 45.3cm, 두께 3.7cm, 무게 3.7kg) 다트 보드는 1부터 20까지의 숫자가 배열되어 있어, 각 영역(Area)의 적검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각 영역의 배점은 순서대로 배열 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높은 점수와 낮은 점수가 교차되며 이..
다트(Dart) 장비. 1 - Dart
2018. 6. 23.다트(Dart)의 구성 " TIP(팁) Barrel(배럴) Shaft(샤프트) Flight(플라이트) " 다트는 TIP(팁) + Barrel(바렐) + Shaft(샤프트) + Flight(플라이트) 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보편적으로는 4개의 구성품이 분리되어 있는 조립형과 구성품끼리 하나로 묶여져있는 일체형이 있습니다. 일체형의 경우, 파손시 전부 교체를 해야하기 때문에 비용 문제로 인해서, 조립형을 많이 사용하는 편이지만, 조립형의 경우, 경기중에 분리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기에 부분적으로 혹은 전체적으로 묶여있는 일체형을 선호하시는 플레이어도 있습니다. 1. 팁(TIP) 다트에 있어서 팁(화살촉)은 보드에 꽂히는 부분이므로 보드 종류에 맞게 사용해야 합니다. 스틸 다트의 경우 스틸팁을, 전자다트의 경..
다트(Dart) 입문 : 유래
2018. 6. 4.다트의 역사/유래 (Darts History) "전쟁중 여가시간을 활과 화살로 놀이를 한 것이 다트의 기원" 영국은 기나긴 백년전쟁(1339~1453)이 끝나면서 무기였던 화살을 짧게 자르고, 활 대신 맨손으로 던지는 형태의 놀이가 등장하게 되었다. 당시에는 현재의 부드러운 스틸다트용 보드나 술집(Pub)에서 볼수 있는 소프트다트의 머신을 이용하는 대신, 빈 와인 뚜껑(통나무)을 사용했다고 한다. 그리고 점차 이 와인 통나무도 두껍게 둥글게 잘라 사용하게 되었고, 자연적으로 시간이 흐르면서 통나무가 마르게 되어 표면에 방사형의 균열이 생겨, 나이테와 어우러지면서 현재의 다트보드와 비슷한 영역(area)을 가진 다트보드가 된 것이다. 이때부터 득점(score)방식이 더욱 다트의 재미를 더 해주었다. 그러나..
다트(Dart) 경기 방식. 3 - 카운트업(Count-Up)
2015. 11. 9.Count-Up(카운트업)은 0점부터 시작해서, 각 영역을 맞춰서 해당하는 점수를 합산하여 높은 점수를 얻으면 승리하는 가장 단순한 형태의 게임 방식이다. (초보자에게 알맞는 게임) (출처 : 고릴라다크) (출처 : 피닉스다트) 0. 플레이어간 선, 후 플레이어를 결정한다. 1. 최초 점수는 0점이다. 2. 총 8라운드로, 1라운드당 3발씩 총 24발을 사용하여, 맞춘 영역의 점수를 획득하게 된다. 3. 규정된 라운드(8라운드)가 끝나면, 점수를 모두 합산하여 가장 높은 점수의 플레이어가 승리하게 된다.
다트(Dart) 경기 방식. 2 - 스텐다드 크리켓 (S.Cricket)
2015. 11. 9.영국에서는 미키마우스(Mickey Mouse)라고도 불려진다. 특정 영역을 점령하여 점수를 얻는 전략 게임으로, 20~15 점수 영역과 불(Bull) 영역만을 이용한다. (출처 : 고릴라다트) (출처 : 피닉스다트) 0. 플레이어간 선, 후 플레이어를 결정한다. 1. 지정 크리켓(20, 19, 18... 15, Bull)을 세번 마크하면 자기 영역이 된다. 1) 1회 맞추면 1마크(/), 2회 맞추면 2마크(X), 3회 맞추면 오픈(O)되어 자기 영역이 된다. 2) 4회 부터는 해당 영역의 점수를 얻게 된다. 3) 각 영역의 Single(싱글) 영역은 1회로, Double(더블) 영역은 2회로, Triple(트리플) 영역은 3회로 카운트 한다. 2. 자신이 획득한 오픈(O)된 영역에 상대방이 3회 마크를..
다트(Dart) 경기 방식. 1 - 01(Zero One) 게임
2015. 11. 8.가장 보편적인 경기 방식으로, 주어진 점수에서 각 다트로 획득한 점수만큼 차감하여 0으로 마무리하는 경기이다. (301, 501, 701, 901, 1101 등의 점수가 처음에 주어진다.) (출처 : 고릴라다트) (출처 : 피닉스다트) 0. 플레이어간 선, 후 플레이어를 결정한다. 1. 기본 점수(301, 501 등)가 주어진 상태에서 플레이어는 교대로 다트 3개씩 던진다. 2. 규정 라운드 안에 주어진 점수를 0으로 먼저 만드는 플레이어 승 3. 규정 라운드 안에 아무도 끝내지 못한 경우, 남은 점수가 적은 플레이어 승 4. 획득한 점수로 정확하게 0점을 만들지 못하고, 점수가 초과하게 되면 BUST(버스트) 1) 예 : 남은 점수 10점에서 다트를 던져 12점을 맞추면 -2점으로 BUST 2) B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