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 다트 스탯 관련 용어정리.
대부분 약자로 되어있어서 정확한 의미를 잘 모르는 경우가 있어서 정확하게 정의토록 한다.
1. Rating (레이팅)
플레이어간의 다트 실력을 가늠할 수 있는, 일종의 등급이다.
소프트다트의 경우, 각 기업(피닉스다트, 다트라이브 등)에 따라서 각 등급을 다르게 나누고 있으니 참고하시길...
PPD 또는 MPR을 기준으로 계산되며, 플레이어간의 경기를 할 때, 공정란 레벨을 구분하기 위한 기준이 된다.
당연히 높을수록 우수한 실력.
(출처 : 피닉스다트)
2. PPD : Point Per Darts의 약자
해석 그대로 하면, 다트 1발당 평균 점수를 의미한다. (01 게임, 카운트업 등에 적용된다.)
예를 들어서 01 게임에서 총 10발의 다트를 던졌을 경우, 총 점수를 10발로 나누면 1발당 평균점수가 나오는데,
이것을 PPD라고 한다.
(출처 : 피닉스다트)
3. MPR : Mark Per Round의 약자
해석 그대로 하면, 각 Round당 평균 마크한 수를 의미한다. (크리켓 게임에 적용되며, 이때 점수는 상관이 없다.)
예를 들어서 크리켓 게임에서 총 8 Round를 던져서 8번을 마크한 경우, MPR은 1이 된다.
즉, 평균적으로 각 Round당 1발이 마크되었다는 의미.
(출처 : 피닉스다트)
4. PPR : Point Per Round의 약자
PPD와 같은 개념으로 단, 다트 1발당 평균 점수가 아니라 Round(다트 3발)당 평균 점수를 의미한다.
PPD와 마찬가지로 01 게임, 카운트업 등에서 적용된다.
5. MPD : Mark Per Darts의 약자
MPR과 같은 개념으로 단, Round당 평균 마크 횟수가 아니라 다트 1발당 평균 마크 횟수를 의미한다.
MNR과 마찬가지로 크리켓 게임에 적용된다.
'다트 (Dar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트(Dart) 장비. 1 - Dart (0) | 2018.06.23 |
---|---|
다트(Dart) 입문 : 유래 (0) | 2018.06.04 |
다트 용어 - Part.2 (0) | 2016.02.17 |
다트 용어 - Part.1 (0) | 2015.12.28 |
다트(Dart) 경기 방식. 3 - 카운트업(Count-Up) (0) | 2015.11.09 |
다트(Dart) 경기 방식. 2 - 스텐다드 크리켓 (S.Cricket) (0) | 2015.11.09 |